약시/사시
01
사시란?
사시란?
사시는 소아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.
병적인 사시의 경우 2%의 유병률, 정상범위 경도의 사시(사위)의 경우 10%의 유병률을 가지며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합니다.
사시를 미용상의 문제로만 생각하기 쉽지만 이로 인해 약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사시로 인한 약시는 49세 이상의 약시 환자 중19%정도를 차지하고 항상 한쪽 눈에만 발생합니다.
병적인 사시의 경우 2%의 유병률, 정상범위 경도의 사시(사위)의 경우 10%의 유병률을 가지며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합니다.
사시를 미용상의 문제로만 생각하기 쉽지만 이로 인해 약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사시로 인한 약시는 49세 이상의 약시 환자 중19%정도를 차지하고 항상 한쪽 눈에만 발생합니다.

또한 사시가 있을 경우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복시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
오래 방치하지 말고 시력을 보존할 수 있도록 조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.
오래 방치하지 말고 시력을 보존할 수 있도록 조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.
02
사시의 증상과 종류
사시의 증상과 종류
발견된 시기에 따라 소아/성인 사시로 나누고 방향에 따라서도 나눌 수 있습니다.
-
간혈성 외사시평소에 두 눈의 검은 동자가 눈의 정가운데 위치해 있습니다.
그러나 피곤할 때, 아침에 일어났을 때, 열이 날 때, 공상을 할 때 등 사시가 나타나며 한쪽 또는 양쪽이 교대로 바같으로 나가고 밝은 곳에 나가면 찡그리는 것이 특징입니다. -
거짓 내사시(가성 내사시)실제 사시가 없는데로 외관상 사시처럼 보이는 경우입니다.
동양인 아이인 경우 대개 미간이 넓고 콧등이 낮으며 쌍꺼풀이 없고 눈이 작아 양쪽 눈의 코 쪽 공막이 눈꺼풀에 가려져 내사시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. -
영/유아 내사시생후 4~6개월된 시기에 나타나는 사시로 다른 사시와 비교해 볼 때 안쪽으로 심하게 몰려 있습니다.
늦어도 만 2세까지는 수술을 해야 두 눈으로 보는 기능과 시력의 회복이 가능합니다. -
조절 내사시심한 원시 때문에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 과도한 조절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시로 굴절조절내사시라고 합니다.
원시를 안경으로 교정하면 원시가 나아질 수 있습니다. -
마비성 사시(상사근 마비)우리 눈을 움직이는 6개의 근육은 뇌 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.
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상사근 마비가 마비사시 중 가장 흔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-
성인사시어릴 때 발생한 사시가 계속 되거나 외상, 당뇨, 고혈압, 갑상선 질환, 뇌질환 등의 전신질환 합병증으로 발생합니다.
사물이 2개로 보이는 복시가 나타날 수 있으며 치료는 시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안경 착용과 근육 위치 조정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.
03
사시의 치료
사시의 치료
-
가림치료약시가 있는 경우 좋은 눈 가림치료로 나쁜 눈의 시력이 발달되도록 하여 사시가 나타나는 빈도를 줄일 수 있고 사시 수술 전후의 보조적 치료로 사용합니다.
-
안경 및 프리즘 안경조절내사시의 경우 원시를 동반하기 때문에 안경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
심한 굴절이상이나 부등시가 있을 경우 약시 예방 또는 시력 교정의 목적으로 안경을 착용해야 합니다.
그리고, 수술 후 속발성 사시가 발생하거나 사시각이 크지 않는 경우 특수 프리즘 안경을 착용하기도 합니다. -
수술적 요법조절내사시를 제외한 모든 사시의 궁극적 치료법은 수술입니다.
수술로 외안근의 힘을 조절해 교정하는 방법으로 한 눈에 하거나 또는 두 눈에 시행하기도 합니다.